끄적끄적

카카오뱅크 한달적금 8% 할만한가? 얼마나 나올까? 앱테크?

돼앙지 2023. 10. 30. 20:46

카카오뱅크 한달적금이 Hot 하다.

월간 짠테크, 갓생살기, 여행자금 마련, 생일선물 준비, 무지출 챌린지와 어울리는 한달적금일지?

 

8%라는 큰 이자를 홍보하지만, 과연 얼마나 나올까?

상술? 혜택? 앱테크 수준보다 좋을지, 파워 J는 계산해본다!

 

시간이 소중한 여러분을 위해 결과만 말하자면, 

 

상술에 한표..

930,000원 적금시 세후 2,771원

2,790,000원(최대 개설 가능한 통장 3개) 투자하여, 8,313원

 

이게 혜택이 있는걸까?

기대가 높아서 그랬는지 몰라도, 금액을 알게되니 화가나네

[한달적금 만기조건시]

입금 설정액: 3만원

가입기간: 31일 

납입회차: 31일 회차 

 

[한달적금 만기예상액]

적용금리: 연 8%

예상원금: 930,000원

예상이자(세전): 3,261원

예상이자(세후): 2,771원

 

 

93만원이 31일동안 묶이면서 2,771원이면 하루에 89.4원인데,

그냥 돈을 안묶어놔도 되는 만보기 앱테크랑 차이가 있을까?

 

하루에

한번쯤 들어봤을 캐시워크만 하더라도, 1만보면 100캐시

'친구와 함께 토스 켜고'로 핫한 토스만 해도 100원은 되는데?

 

다들 블로그에서 한달적금 금액에 대해서 계산을 어떻게 한건지 모르지만 다 다르다

그냥 대충 계산해서 올려서 그런거 같은데, 정확한건 역시 파는 사람(?)한테 물어보는게 빨라서 물어봤더니..

 

확인방법

 

카카뱅크 앱에서 '고객센터 - 채팅으로 '예적금계산기' - '한달적금' 선택 - 금액&기간 설정'

 

 

나는 한달짜리 적금을 하고 싶다.

저금 습관을 시작하고 싶다

하시는 분들만 추천(?)해요.

춘식이 좋아하시는 분들도 추천, 31일 뒤엔 31층의 춘식이와 2,771원이 남아요

 

 

 

추가로!

한달적금 상품 이벤트가 2개 진행 중이네요, (2023/10/26 ~ 2023/11/22)

 

1. 매주 1만명에게 적금시작 지원금 3,100원씩 (통장개설시 자동응모)

2. 1번 이벤트를 공유하면 스타벅스 커피쿠폰을 1천명 추첨하여 지급!

 

추첨 운이 없는 저로서는

 

 

 

 

 


어떤 상품인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을 위해 상품설명을 정리했는데, 별루네요..

 

상품명: 카카오뱅크 한달적금

[입금방식]

하루 한 번 직접 입금으로만 가능합니다.

자동이체 없이 직접 입금하는 상품입니다.

 

입금시 마다 춘식이를 구경할 수 있는데, 춘식이 홍보 같아요

한달적금 상품의 이득보다는 매일 다른 춘식이를 보는 이득으로..?

아무리 좋게 생각해도 애기들 저축 습관용 말고는?

 

[금리]

최고금리: 연 8.00% (기본 2.50%)

적금방식: 최초 설정한 금액(100원 ~ 3만원)으로 31일간 매일, 하루 한번

상품특성

  1. 춘식이와 매일 우대금리 언박싱 연 0.10%씩 입금시 매일 제공

  2. 보너스 우대금리가 31일동안 최대 6회

      - 5회 입금시: 연 0.20%p

      - 10회 입금시: 연 0.20%p

      - 15회 입금시: 연 0.30%p

      - 20회 입금시: 연 0.30%p

      - 25회 입금시: 연 0.50%p

      - 31회 입금시: 연 0.90%p

 

 

보너스 우대금리를 매번 타야 연 8%가 완성됩니다. 하루라도 빼는 경우라면 2,771원에서

더 줄어들지요

 

 

[중도해지금리]

만기일 전 해지시, 가입시점 기본금리 적용 (납입을 통해 획득한 우대금리는 적용되지 않음)

 

[만기 후 금리]

가입일 당시 고시한 이 상품의 만기 후 금리 적용

만기 후 경과기간이 1개월 이내인 경우: 가입시점 기본금리 x 50%

만기 후 경과기간이 1개월 초과 3개월 이내인 경우: 가입시점 기본금리 x 30%

만기 후 경과기간이 3개월 초과인 경우: 연 0.20% 

 

 

보시는 분들 부자되세요!

열심히 밖에서 만보 걸어야지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과소비일까? 절약의 기준은? 절약 왜 해?  (1) 2023.10.22